하드웨어 이중화2 [이중화/Redundancy] 기능안전 달성을 위한 차량 및 부품의 이중화 컨셉 정리 (2) 오늘은 지난번 작성한 포스팅에 이어 기능안전에서 중요한 설계 기술인 이중화 또는 중복화 라고 하는 Redundancy에 대해 SoC (System On Chip) 관점으로 소프트웨어 형태, 정보 형태, 타이밍 형태의 이중화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는 지난번 작성한 포스팅 링크 입니다. (이중화 컨셉 및 하드웨어 이중화 컨셉 설명) [이중화/Redundancy] 기능안전 달성을 위한 차량 및 부품의 이중화 컨셉 정리 (1)안녕하세요. 자율주행 시스템/SW 안전 전문가를 목표로 하는 플라잉 준입니다 :) 오늘은 기능안전에서 중요한 설계 기술인 이중화 또는 중복화 라고 하는 Redundancy에 대해 SoC (System On Chip) 관점으ji-se.tistory.com 개요먼저 ISO.. 2023. 3. 12. [이중화/Redundancy] 기능안전 달성을 위한 차량 및 부품의 이중화 컨셉 정리 (1) 오늘은 기능안전에서 중요한 설계 기술인 이중화 또는 중복화 라고 하는 Redundancy에 대해 SoC (System On Chip) 관점으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부터는 Redundancy를 이중화라고 하겠습니다 :) 개요먼저 ISO 26262 기능안전 표준에 설명된 "Safety Compliant (안전 준수)"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SoC (System On Chip) 설계 기술로는 아래의 기술들이 있습니다.Redundancy (이중화)Self-test (자체 테스트)Signal monitoring (신호 모니터링)Voltage supply monitoring (전압 공급 모니터링)Watchdog timer (워치독)등등이 중 이중화 (Redundancy)는 높은 진단 커버리지 (Di.. 2023. 3. 1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