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1 자동차 기능 안전과 ISO 26262 표준 개요 Introduction현대 자동차에는 수많은 전자장치와 소프트웨어 기능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이 오작동하거나 고장이 난다면 운전자와 탑승자의 안전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자동차 업계에서는 기능 안전(Functional Safety) 개념과 국제 표준 ISO 26262를 도입하여 차량 개발 과정 전반에 걸쳐 안전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자동차 업계 취업을 준비하는 분들과 신입 엔지니어를 위해 기능 안전의 개념과 ISO 26262 표준의 주요 내용을 쉽게 풀어 설명합니다. 또한 ADAS 의 자동 긴급 제동장치(AEB)와 같은 실제 예시를 통해 ISO 26262 적용 방법을 살펴보고, 기능 안전 분야를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될 팁도 함께 소개합니다.1. .. 2025. 2. 14. ASPICE 개념과 평가 방법 Introduction 자동차 산업에서 소프트웨어의 역할이 커지면서 개발 프로세스의 품질 관리 중요성이 크게 강조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최근의 자동차는 수천만 줄이 넘는 소프트웨어 코드로 구성되어 있고, 한 가지 결함만으로도 대규모 리콜이나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소프트웨어를 체계적으로 개발하고 결함을 예방하는 과정이 필수적입니다. 이런 배경에서 등장한 것이 ASPICE입니다. ASPICE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ASPICE(Automotive SPICE)는 자동차 업계에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의 역량 수준을 평가하고 향상하기 위한 산업 표준입니다. 이름의 SPICE는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and Capability dEtermination의 약.. 2025. 2. 14. XCP 통신 모델과 메시지 프레임 구조 소개자동차 ECU(전자제어장치) 내부 데이터를 PC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조정(calibration)하려면 어떤 통신 방법이 필요할까요? 이러한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표준 프로토콜 중 하나가 XCP입니다. XCP는 "Universal Measurement and Calibration Protocol"의 약자로, 이름처럼 ECU 내부 변수의 값을 읽고 쓰거나 전체 데이터 세트를 이벤트에 맞춰 동기식으로 수집/자극(stimulation)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원래 CAN 버스용으로 개발된 CCP를 발전시킨 것으로, CAN 이외에도 Ethernet, FlexRay 등 다양한 통신 매체에서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확장된 버전입니다. XCP 통신은 하나의 마스터(예: PC의 캘리브레이션/테스.. 2025. 2. 14. XCP 프로토콜 기초 설명 들어가며XCP 프로토콜이란 무엇인가? XCP란 Universal Measurement and Calibration Protocol의 약자로, ECU(전자제어장치)의 내부 메모리에 읽기/쓰기 접근을 제공하는 표준 네트워크 프로토콜입니다. 다시 말해, 차량 ECU와 PC 기반의 캘리브레이션 도구를 연결하여 ECU 내부 변수 값을 실시간으로 읽어오거나(측정), 내부 파라미터를 **실시간으로 수정(캘리브레이션)**할 수 있게 해줍니다. 예를 들어 CAN 같은 버스를 통해서는 ECU가 송출하는 한정된 정보만 볼 수 있지만, ECU 내부 동작은 일종의 블랙박스처럼 감춰져 있습니다. XCP를 사용하면 표준화된 방식으로 ECU 내부의 다양한 변수를 고속으로 들여다보고, 그 값들을 변경하여 ECU 알고리즘을 실시간으.. 2025. 2. 14. XCP: ECU 개발을 위한 범용 측정 및 캘리브레이션 프로토콜 소개 XCP란 무엇인가?XCP는 Universal Measurement and Calibration Protocol의 약자로, 전자제어장치(ECU)의 내부 메모리 데이터를 읽고 쓰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 네트워크 프로토콜입니다. 자동차 ECU의 계측(Measurement) 값을 읽어오고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파라미터를 실시간으로 조정하기 위해 엔지니어들이 개발 단계부터 테스트, 차량 튜닝에 이르기까지 활용하는 ECU 개방형 인터페이스입니다. 원래 1990년대에 CAN Calibration Protocol (CCP)이라는 프로토콜이 CAN 버스를 통해 ECU 내부 변수에 접근하는 데 사용되었는데, XCP는 그 후속 프로토콜(successor)로서 2003년에 ASAM(자동화 및 계측 시스템 표준.. 2025. 2. 14. XCP (Universal Measurement and Calibration Protocol) – 개념과 구조 Intro: XCP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현대 자동차에는 수십 개의 전자제어장치(ECU)가 들어가며, 각 ECU에는 수많은 제어 변수와 보정값(캘리브레이션 파라미터)이 있습니다. 개발 과정에서 엔지니어들은 ECU 내부 변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조정해야 하는데, 이 때 사용되는 표준 통신 프로토콜이 XCP입니다. XCP란 Universal Measurement and Calibration Protocol(범용 측정 및 캘리브레이션 프로토콜)의 약자로, ECU와 캘리브레이션 도구(예: PC 기반 소프트웨어)를 연결하여 ECU 내부 메모리의 데이터를 읽고 쓰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입니다. 쉽게 말해, 차량 ECU의 속마음을 들여다보고 튜닝할 수 있게 해주는 언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25. 2. 11. 이전 1 2 3 4 ··· 1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