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7 ASPICE - SYS.2 System Requirement Analysis /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 정리 1. IntroductionADAS/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을 처음 접하는 엔지니어들을 위해, Automotive SPICE(ASPICE) 4.0의 SYS.2 System Requirements Analysis 프로세스를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SYS.2 프로세스의 목적, 결과(Outcome), 기본 수행활동(Base Practice), 그리고 산출물(Output Information Item)을 하나씩 해설하고, 자동 긴급 제동장치(AEB) 예제를 통해 실무 적용 방법과 양질의 산출물이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2. SYS.2 프로세스의 목적과 결과 (Purpose & Outcomes)ASPICE 4.0 SYS.2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 프로세스의 목적은 이해관계자 요구사.. 2025. 5. 11. 자율주행 AI의 안전 확보를 위한 새로운 표준: ISO/PAS 8800:2024 개요 1. Introduction자율주행차와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에는 인공지능(AI) 기술, 특히 머신러닝 알고리즘이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카메라나 라이다 같은 센서로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딥러닝 모델로 보행자나 차량을 감지하는 등 AI는 차량의 주행 의사결정에 핵심적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하지만 AI 모델의 판단 오류나 한계로 인해 안전상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우려입니다. 예를 들어 학습 데이터에 없는 낯선 객체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복잡한 도로 상황에서 오동작하여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신종 위험을 해결하기 위해 국제 표준화 기구 ISO는 2024년 12월 ISO/PAS 8800:2024 "Road Vehicles — Safety and Artif.. 2025. 5. 9. ISTQB CTFL 핵심 개념과 자동차 소프트웨어 테스트 사례 1. 개요ISTQB 국제 소프트웨어 테스트 자격의 Foundation Level 실러버스는 소프트웨어 테스팅의 기본 개념을 6개 장(Chapter)으로 설명합니다. 아래에서는 각 장의 핵심 개념과 학습 목표를 정리하고, 이를 자동차 소프트웨어 테스트 실무 사례와 연결하여 설명합니다. 신입 자동차 S/W 테스트 엔지니어가 실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테스트 문서화, 결함 추적, 안전 기능 검증 등의 측면도 함께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1장: 테스트의 기본 원리 (Fundamentals of Testing)소프트웨어 테스트의 역할과 필요성: 테스트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결함(버그)을 찾아내고 품질 정보를 제공하여 제품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활동입니다. 특히 자동차와 같은 임베디드 시스템에서는 테스트를 소홀히 할 경.. 2025. 5. 9. ISO 29119와 ISTQB CTFL: 자동차 소프트웨어 테스트를 위한 기준과 지식 1. ISO 29119와 ISTQB CTFL의 기본 개요 및 목적ISO/IEC 29119 소프트웨어 테스트 국제 표준 개요ISO/IEC/IEEE 29119는 소프트웨어 테스트에 관한 국제 표준으로, 소프트웨어 테스트 프로세스와 문서화, 기법에 대한 종합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2013년 처음 발행된 이 표준은 다양한 도메인(예: 일반 SW, 자동차, 의료 등)에서 필요한 테스트 활동을 포괄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리스크 기반 테스팅(Risk-based Testing)을 테스트 전략 수립의 권장 접근법으로 제시합니다. ISO 29119는 총 5개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파트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Part 1: Concepts & Vocabulary – 소프트웨어 테스팅.. 2025. 5. 9. SOTIF (ISO21448:2022) 개요 1. Introduction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부터 완전 자율주행까지 차량의 자동화 수준이 높아질수록 새로운 종류의 안전 문제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ISO 26262 기능 안전 표준으로 전기/전자 시스템의 결함에 따른 위험을 관리해왔지만, 자율주행 차량에서는 결함이 없어도 발생하는 위험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 명확해졌습니다. 예를 들어, 차량 센서와 소프트웨어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도로 환경이나 사용 방법에 따라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들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2022년 국제 표준으로 제정된 ISO 21448:2022 “도로 차량 – 의도된 기능성의 안전(SOTIF: Safety of the Intended Functionality)”이 등장하게 되.. 2025. 5. 8. 자율주행 프레임워크, 규제 및 표준 총 정리: 엔지니어를 위한 기술 가이드 1. Introduction자율주행차 기술은 인류의 모빌리티를 혁신할 잠재력을 지니고 있지만, 그 구현을 위해서는 여태까지의 자동차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안전과 보안이 요구됩니다. 실제로 도로 교통사고의 약 88%가 인간의 실수로 인해 발생하며, 자율주행 시스템은 이러한 인간 오류를 제거함으로써 사고와 인명 피해를 크게 줄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차량 제어권을 기계에 맡기는 데 따른 사회적 불안이 존재하고, 단 한 번의 시스템 오작동이나 해킹으로도 대형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자율주행차에는 결함 허용도가 극도로 낮은 초고신뢰 시스템이 요구됩니다. 다시 말해, 자율주행 안전은 이제 사이버 보안과도 불가분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강력한 보안 없이는 안전도 담보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각.. 2025. 5. 8. 이전 1 2 3 4 5 6 7 8 ··· 13 다음 반응형